남양쌍부파(南陽雙阜派)
페이지 정보
본문
김수종(金壽宗): 일운계종(一云継宗) | ||
남선등무과 통정대부 행길주목사. 가선대부 북병사(南宣登武科 通政大夫 行吉州牧使. 嘉善大夫 北兵使) |
||
嘉善大夫 北兵使 8世 壽宗公 墓 (가선대부 북병사 8세 수종공 묘) |
||
김겸(金鎌): | ||
어모장군 무신겸선전관(禦侮將軍 武臣兼宣傳官)
|
||
김석철(金錫哲): | ||
남선등무과(南宣登武科) 통훈대부(通訓大夫) 행(行) 비인현감(庇仁縣監)
|
||
김경(金瓊): 자 가헌 (字 可獻) | ||
남선등무과 통정대부 행정평부사(南宣登武科 通政大夫 行定平府使)
|
||
김우추(金遇秋): 자 미중 (字 美仲) | ||
남선등무과 가선대부 함경북병사 증병조참판(南宣登武科 嘉善大夫 咸鏡北兵使 贈兵曹叅判) | ||
공은 무장(武將)으로서 북녘 두만강 변방에서 호적 (胡敵)의 반란을 토평하고 강성하는 호적을 견제하고 진무(鎭撫)하는데 충의(忠義)를 다하고 임란시 노령(老齡)으로 관직에서 물러나고 임지에서의 활약상이 국조보감(國朝寶鑑) 청강집(淸江集) 연려실 실기(燃藜室 實記) 일월록(日月錄) 계미기사(癸未記事) 대동기년(大東紀年)등에 기록되어 전하여지고 있다. 묘하에는 전장을 누비면서 타던 애마(愛馬)의 무덤이 있다. | ||
숭모당(崇慕堂) 雙阜派 大司憲 7世 樟公에서 25世 昶圭公에 이르는 43位墓堂 (쌍부파 대사헌 7세 장공에서 25세 창규공에 이르는 43위묘당) 소재지: 화성시 우정읍 화산리 일원동 산91-1 |
||
쌍괴제(雙槐齋) 雙阜派 大司憲 7世 樟公系 齋室 (쌍부파 대사헌 7세 장공계 재실) 소재지: 화성시 우정읍 화산리 산91-1 |
||
김형(金瑩): 자 여수 (字 汝售) | ||
남선등무과 통훈대부 행동래현영(南宣登武科 通訓大夫 行東萊縣令)증숭정대부 의정부 좌찬성겸판의금부사(贈崇政大夫 議政府 左贊成兼判義禁府事) | ||
13世 瑩公 敎旨(13세 형공 교지) 公의 次子 始乾公 寧國原從 一等功臣 依承 伝封爵 (공의 차자 시건공 영국원종 일등공신 의승 전봉작) |
||
김대건(金大乾): 자 원백 (字 元伯) (1583~ ) | ||
남선등무과(南宣登武科) 가선대부 충청도 병사 증숭정대부 의정부 좌찬성겸판의금부사 오위도총부도총관 (嘉善大夫 忠淸道 兵使 贈崇政大夫 議政府 左贊成兼判義禁府事 五衛都摠府都摠管) | ||
인조2년(1626) 이괄(李适)의 난을 도평한 공훈으로 진무일등공훈(振武一等功勳)에 봉훈 되고 공은 금(金 )나라가 점차 득세하니 금(金명)과(明)나라를 왕래하면서 왕명(王命)을 받고 평등외교를 추진하며 국익을 도모하는데 크게 이바지 하였다. 그 기록이 국조보감(國朝寶鑑)별편과 대동기년(大東紀年)에 실려 있다. 전라, 경기의 수사(水使)를 역임하고 충청도병사(忠淸道兵使)로 국난에 충의를 다했으며 임지에서 순직(殉職)하였다.
|
||
김시건(金始乾): 자 원중 (字 元仲) (1585~1667) | ||
1618년 무오등사마(戊午登司馬) 통훈대부 행김포군수(通訓大夫 行金浦郡守) 수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壽嘉大夫 同知中樞府事) | ||
정묘난(丁卯亂)(인 조5년1617)때 수원부사 이시백(李時白)의 계청에 의하여 공으로 하여금 중군을 삼아 강도(江都)에 호종 하게함. 인조22년(1644) 심기원(沈器遠)의 역모사건을 적발하는데 공을 세워 영국원종일등공신(寧國原從 一等功臣)에 봉해지며 그 공훈으로 선고(先考 瑩公)에게 의정부 좌찬성겸판의금부사(議政府 左贊成兼判義禁府事)로 증직되었다. | ||
崇慕堂(숭모당), 崇德齋(숭덕재) | 先塋: 雨公, 萬重公, 任重公, 澱公 | |
雙阜派 同知中樞府事公系 齋室, 墓所 (쌍부파 동지중추부사공계 재실, 묘소) 소재지: 화성시 우정읍 주곡리 산638 |
||
김이건(金以乾): 자 원길 (字 元吉) (1597년 - ) | ||
통훈대부 행황산찰방(通訓大夫 行黃山察訪) 증통정대부 좌승지(贈通政大夫 左承旨)
|
||
김체건(金體乾): 자 원보 (字 元甫) (1605~1667) | ||
1636년 계유등무과(癸酉登武科) 가선대부 평안도 병사겸훈련원도정(嘉善大夫 平安道 兵使兼訓鍊院都正) | ||
인조14년(1636) 훈련도감(訓練都監) 초관으로 병졸을 이끌고 평북 안주 부임지로 갈 때 청병이 창졸간(倉猝間)에 이르매 역전 분투하여 크게 공을 세우고 백형(伯兄) (大乾公)과 함께 공신록에 기록되어 있다. 공은 평생을 변방에서 충의를 다하였다. 공은 인자(仁慈)하고 온후하였으며 청렴하고 검소하였으며 돈목한 행적과 은덕을 베풀기를 좋아하던 일은 신도비(神道碑)에 기록되어 있다. 팔도병사역임(八道兵使歷任) | ||
嘉善大夫 平安道兵使兼訓鍊院都正 14世 諱體乾公 墓 (가선대부 평안도병사겸훈련원도정 14세 휘체건공 묘) |
||
김성(金城): 자 사한 (字 士閑)(1625~1688) | ||
남선(南宣)1648년무자등무과(戊子登武科)가선대부 평안도 병사(嘉善大夫 平安道 兵使)증병조참판겸동지의금부사 훈련원도정(贈兵曹叅判兼同知義禁府事 訓鍊院都正) | ||
嘉善大夫 平安道 兵馬節度使 15世 城公 敎旨 (가선대부 평안도 병마절도사 15세 성공 교지) |
||
김단(金壇): 자 사등 (字 士登)(1636 ~) | ||
등무과(登武科) 어모장군 행훈련원판관(禦侮將軍 行訓鍊院判官)
|
||
김우(金雨): (1625~ ) | ||
통훈대부 행제주목판관겸 제주진첨사감목관(通訓大夫 行濟州牧判官兼濟州鎭僉 使監牧官) (재임1657~1660)
|
||
김하중(金夏重): 자 여정 (字 汝鼎)(1656~1698) | ||
남선등무과(南宣登武科) 통정대부 행곡산부사겸황주진첨사(通政大夫 行谷山府使兼黃州鎭僉使) 증가선대부 호조 참판겸동지의금부사 오위도총부 부총관(贈嘉善大夫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 五衛都摠府 副摠官)
|
||
김태중(金泰重): 자 세진 (字 世珍) | ||
등무과(登武科) 어모장군 권지훈련원봉사(禦侮將軍 權知訓練院奉事) 증가선대부 병조참판겸지의금부사 훈련원도정(贈嘉善大夫 兵曹叅判兼知義禁府事 訓鍊院都正)
|
||
김천중(金千重): 자 여진 (字 汝珍)(1672~1744) | ||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겸충좌위장(嘉善大夫 同知中樞府事兼 忠佐衛將)분무원종삼등공신(奮武原從三等功臣) | ||
嘉善大夫 同知中樞府事 忠壯衛將 16世 千重公 敎旨 |
||
김임중(金任重): 자 여중 (字 汝重)(1656~ ) | ||
증가선대부 사헌부 대사헌(贈嘉善大夫 大司憲) | ||
16世 任重公 敎旨(임중공 교지) (公의 三子 渲公 奮武原從一等功臣 依承 伝封爵) |
||
김천준(金天俊): 자 자모 (字 子侮)(1633 - 1712) | ||
가의대부(嘉義大夫)
|
||
김신중(金信重): 자 중보 (字 重宝)(1654~1683) |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
||
김세중(金世重): 자 국보 (字 國宝)(1671~1715) | ||
절충장군 행용양위부호군(折衝將軍 行龍驤衛副護軍)
|
||
김수(金洙): 자 심원 (字 深源)(1680~1728) | ||
1702년 임오등무과(壬午登武科) 가선대부 평안도 병사겸훈련원도정(嘉善大夫 平安道 兵使兼訓鍊院都正) 공은 충청도수사 전라도, 함경도, 남북병사 포도대장을 3임하고 평안도 병사를 재임 하는 등 중요요직을 두루 역임하면서 선정(善政)을 베푸니 공의 공덕을 추모하는 글이 곳곳에 남아있다.
|
||
각 비문을 의역하면 ○덕주원 마애체 비문(德州院 磨崖棣 碑文) 백성을 다스림에는 덕(德)으로 하고 성(城)을 쌓은 공(功)은 또한 크도다. 거두어드림은 너그러히 하고 부역은 가볍게 해주고 모든 일에 있어 흥함은 더욱 흥하게 하고 망함은 다시 흥하게 하니 온 백성이 덕(德)을 칭송 하더라. ○석우각 비문(石隅閣 碑文) 연막(蓮幕)을 새로짓고 신상필벌(信賞必罰)하였으며 장병(將兵)을 무휼(撫恤)하니 위엄(威嚴)과 은혜(恩惠)가 함께 하도다. ○교동 비문(校洞 碑文) 공(功)은 창루(創樓)와 같이 높고 예(禮)로서 선비를 우대(優待)하였도다 ○강계 비문(江界 碑文) 덕(德)으로 변방(邊方)을 다스리니 그 은택(恩澤)이 영세(永世)에 끝임이 없고 의(義)는 비록 장졸지간(將卒之間)이지만 은덕(恩德)은 부모(父母)와 같더라. |
||
嘉善大夫 平安道 兵馬節度使兼訓鍊院都正 (가선대부 평안도 병마절도사겸훈련원도정) 17世 洙公 影幀 (17세 수공 영정) |
||
김준(金浚): 자 거원 (字 巨源)(1699~1740) | ||
1721년 신축권무등과거(辛丑勸武登科擧)가선대부 행회령부사(嘉善大夫行會寧府使) 북한방어사 도감중군2번 부총관 남,북병사 우포도대장 평안도병사역임(北漢 防禦使 都監中軍2番 副摠官 南北兵使 右捕盜大將 平安道兵使 歷任)
|
||
김흡(金洽): 자 화숙 (字 和叔)(1619~ ) | ||
수자헌대부동지중추부사(壽資憲大夫 同知中樞府事)
|
||
김홍(金泓): 자 홍삼 (字 弘三) | ||
통훈대부 행곤양군수 (通訓大夫 行昆陽郡守)
|
||
김윤(金潤): 초휘수만 자성구(初諱銖萬 字成九)(1670~1698) |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
||
김전(金澱): 자 준보 (字 俊甫)(1684~1751) | ||
1715년 을미등무과(乙未登武科) 통정대부 행창성도호부사겸 청북병마방어사(通政大夫 行昌城都護府使兼淸北兵馬 防禦使) 분무원종1등공신(奮武原從一等功臣) | ||
昌城都護府使 17世 澱 公 敎旨 (창성도호부사 17세 전 공 교지) |
||
김선(金渲): 자 사등 (字 士墱)(1703~1761) | ||
통정대부 행선천도호부사(通政大夫 行宣川都護府使) 분무원종1등공신(奮武原從一等功臣)
|
||
김상옥(金相玉): 자 온숙 (字 溫叔(1727~1790) | ||
1750년 무과등중시(武科登重試) 가선대부 평안도 병사겸훈련원도정(嘉善大夫 平安道 兵使兼訓鍊院都正) 좌우포도대장 함경도 남북병사역임(左右捕盜大將 咸鏡道 南北兵使 歷任) 증자헌대부 병조판서겸지의금부사(贈資憲大夫 兵曹判書兼知義禁府事) | ||
○공의 친소작 시조 1수(公 親所作 時調 一首)
贈 資憲大夫兵曹判書 知義禁府事18世相玉公影幀 (증 자헌대부병조판서 지의금부사18세상옥공영정) |
||
김상태(金相台): 자 자첨 (字 子瞻)(1725~1780) | ||
1750년 경오등무과(庚午登武科) 가선대부 행수사(嘉善大夫 行水使) 증병조참판겸훈련도정(贈兵曹叅判兼訓鍊都正)
|
||
김상훈(金相勳): 자 자화 (字 子和)(1730~1781) | ||
통정대부 행부사(通政大夫 行府使)증가선대부 병조참판겸훈련도정(贈嘉善大夫 兵曹叅判兼訓鍊都正)
|
||
김흥창(金興昌): 자 치욱 (字 穉郁(1688~1756) | ||
1728년 무신등무과(戊申登武科) 부사과(副司果) 분무원종삼등공신(奮武原從三等功臣)
|
||
김영(金煐): 자 경명 (字 景明)(1772~1850) | ||
1794년 갑신등무과(甲申登武科) 자헌대부 형조판서 금위영 어영대장(資憲大夫 刑曹判書禁衛營禦營大將) 겸오위도총부도총관 지훈련원사(兼五衛都摠府都摠管 知訓鍊院事) | ||
166代 三道統制使 19世 煐公 去思碑 (166대 삼도통제사 19세 영공 거사비) |
||
공이 삼도통제사(三道統制使)로 순조29년(1829) 통영에 부임한 그해에 큰불이 일어나 4개동 인가 수백호가 불타버리니 남망산(南望山)의 소나무를 베어다 집을 짓게 하여 주민을 구휼(救恤)했으나 금송(禁松)을 남벌(濫伐)하였다는 국법으로 파직(罷職)을 당하니 이듬해에 통영의 주민이 공의 은덕을 기리는 비문을 뜬 바위에 세웠으니 이 바위는 공이 올라가 수일동안 진화작업을 지휘하였던 바위이며 통영군지(統營郡誌)인편에 실려 있으니 비문을 의역하면 「화재(火災)의 고난(苦難)을 겪은 백성(百姓)들이 공께서 안전(安全)하게 조치해주신 덕택으로 걱정근심을 덜어 버리니 춥고 배고픔 막아주시니 은혜(恩惠)크고, 많은 집들을 전과 같이 다시 짓게 해 주시니 재난은 이미 지난일 되었고 옛 과 같이 살게 되었도다」 라고 기록(記錄)되어 있다. 그밖에 세병관(洗兵館) 후정에도 거사비(去思碑)가 세워져 있다. 그러나 공은 다시 기용(起用)되어 포도대장(捕盜大將) 24번역임 하고 한성판윤(漢城判尹)(833대)을 거쳐 형조판서(刑曹判書) 도총관(都摠管) 금위영대장, 어영대장 총융사(禁衛營大將, 御營大將 摠戎使)등의 많은 중직을 역임하였다. ○ 공의 친 소작 시조로 단시조(短時調) 7수와 장시조 (長時調)2수가 전해지고 있다. 눈풀풀 접심홍(蝶尋紅)이오 술충충 의부백(蟻浮白)을 거문고 당당 노래하고 두루미 둥둥 춤을 춘다. 아해(兒孩)야 시문(柴門)에 개 짖으니 벗 오시나 보아라. 공은 문무겸전(文武兼全)한 장신(將臣)으로 진고개 에 살아 이현장신(泥峴將臣)이라 하고 조선문무요인록(朝鮮文武要人錄)에 등재 되어 있다.
|
||
김희(金爔): 자 원보 (字 元甫)(1749~1811) | ||
1773년 계사등무과(癸巳登武科) 가의대부 병사(嘉義大夫 兵使)겸훈련원도정(兼訓鍊院都正) 화성성역도소감궤 역임(華城城役都所監饋 歷任)
|
||
김혁(金爀): 자 중명 (字 仲明)(1751~1814) | ||
1775년 을미등무과(乙未登武科) 통정대부 수병사(通政大夫 守兵使)화성성역도소감동 역임(華城城役都所監董 歷任)
|
||
김의(金燨): 자 계명 (字 季明)(1755~1817) | ||
1777년 정유등무과(丁酉登武科) 가선대부 남병사(嘉善大夫 南兵使)증자헌대부 병조판서겸지의금부훈련원사 (贈資憲大夫 兵曹判書兼知義禁府訓鍊院事) | ||
19世 燨公 敎旨(19세 의공 교지) 壬申(1812) 西匪時 宣川府使 超 贈卿職 (임신(1812) 서비시 선천부사 초 증경직) |
||
김후(金㷞): 자 광중 (字 光中)(1751~1805) | ||
등무과(登武科) 통정대부 수황해병사(通政大夫 守黃海兵使) 화성성역독성중군별감동 역임(華城城役禿城中軍別監董 歷任) | ||
通政大夫 守黃海兵使 19世 㷞公 影幀 제291호 경기도 유형문화재 지정 (통정대부 수황해병사 19세 후공 영정) (수원 화성박물관 상설 전시) |
||
김한철(金翰喆): 자 사공 (字 士羾)(1802~1856) | ||
1814년 갑신등무과(甲申登武科) 가선대부 삼도통제사(嘉善大夫 三道統制使)(181대) 겸경상우도수군절도사(兼慶尙 右道水軍節度使)임지순직(任地殉職)
|
||
김구철(金龜喆): 자 치가 (字 致嘉)(1808~1870) | ||
- 이전글화천파(華川派) 24.10.18
- 다음글포천파(抱川派) / 강화금곡파(江華金谷派) / 남양모전파(南陽茅田派) 24.10.18